대한민국 국민 전체가 사용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카카오톡 가족이나 친구와 연락하거나 회사에서 일하면서도 카톡 계속 사용하시죠? 이렇게 우리는 하루 종일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메시지를 주고받게 되는데요. 오늘은 어떤 점심을 먹었는지 사진을 보내거나 업무에 필요한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내 휴대폰속에 저장된 사진을 보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이 사진 속에 내 정보가 모두 저장되어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카카오톡에서 대체 어떻게 노출되는 건지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갤러리에 들어가 보시면 내가 찍은 사진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 사진을 클릭하시고 하단에 점 3개를 눌러보시면 상세 정보라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상세 정보를 클릭해 보시면 사진의 이름 저장 위치 용량 등과 함께 내가 사진을 찍었던 날짜 시간 위치 정보까지 그대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심지어 지도로 친절하게 바로 확인까지 하실 수 있는데요.
카카오톡에 보낸 사진을 저장해도 사진에 대한 정보는 그대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내가 방금 보낸 사진 역시 내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것입니다.
별 생각 없이 보내는 사진이지만 내가 살고 있는 집까지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죠.
특히 요즘 범죄의 타깃이 되고 있는 오픈 채팅방에 사진 하나를 올렸을 뿐인데 위치가 노출된다면 심각한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하셔야겠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위치 정보가 저장되지 않을까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카메라 앱 설정 자체를 변경하면 되겠는데요. 카메라 설정 정보를 위치 정보가 저장되지 않도록 설정하시면 사진을 찍으실 때 애초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지 않습니다.
카메라 앱을 켜신 후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을 클릭하시면 카메라 설정 목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쭉 내려보시면 위치 태그라는 항목이 있는데 내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한 장소를 함께 저장하는 기능으로 이 기능을 비활성화해 놓으시면 위치 정보가 저장되지 않습니다.
한 번도 설정한 적이 없으시다면 대부분의 위치 저장 활성화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파란색 버튼을 한 번 눌러 비활성화로 해주셔야 합니다.
이미 찍은 사진의 위치 정보도 삭제하실 수 있습니다. 아까 들어갔던 사진의 상세 정보에 들어가시면 상단에 편집이라는 글자를 보실 수 있는데요.
편집을 눌러보시면 위치 부분 아래에 빨간색 빼기 버튼이 생성되고 이 버튼을 누르고 저장을 누르시면 위치 정보가 사라집니다.
간단하게 3분만 투자하시면 소중한 정보 지키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라이프팩토리였습니다. 감사합니다.